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Q. 여랑야랑 윤수민 기자 나왔습니다. 첫 번째 주제 보겠습니다. 한동훈 국민의힘 위원장,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, 3가지 무슨 기준인가요?<br> <br>두 사람이 새로운 청산 기준을 놓고 설전을 벌였는데요. <br> <br>한동훈 위원장, 연일 운동권 청산을 주장하고 있죠. <br><br>운동권 청산이 독립운동가 청산과 비슷하다는 민주당의 주장에, 한 위원장 이런 기준을 제시했습니다. <br><br>[한동훈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(오늘)] <br>운동권 특권 세력이 과연 우리 대한민국 여기까지 있게 한 헌신한 독립운동가들과 이미지가 같습니까? 그분들이 돈봉투 돌리고 재벌한테 뒷돈 받고 룸살롱 가서 여성 동료에게 쌍욕했습니까? 갖다 댈 걸 갖다 대야지. <br><br>다시 한 번 짚어보면 돈봉투, 룸살롱, 욕설 3가지가 청산 기준입니다. <br><br>Q.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, NHK 룸살롱 사건이 떠오르게 하는 거네요.<br> <br>네. 그러자 홍익표 민주당 원내대표, 되받아쳤는데요. <br> <br>청산 대상은 운동권이 아니라 이 사람들이라고요. <br>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(오늘)] <br>(국민 세금인) 특수활동비를 자신의 쌈짓돈처럼 흥청망청 쓰고 <br> 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(오늘)] <br>룸살롱 스폰서 검사들 때문에 김영란법이 만들어졌습니다. <br>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(오늘)] <br>윤석열 대통령의 동영상으로 쌍욕은 잘 드러났습니다. <br><br>[홍익표 /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(오늘)] <br>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비대위원장을 포함한 정치검사 그 일당들이 정치권의 청산 대상 1순위입니다. <br><br>Q. 같은 기준인데 대상이 전혀 다르네요.<br> <br>네. 총선 때까지 국민의힘은 운동권 청산, 민주당은 검사 독재 프레임을 이어갈 예정입니다. <br><br>Q.다음 주제 보겠습니다. 두 사람 같은 배 탔는데 개혁신당은 진보입니까 보수입니까? 저도 궁금하네요.<br> <br>다들 궁금해하죠.<br> <br>같은 당이라면 같은 이념을 지향해야 할테니까요. <br> <br>개혁신당은 진보냐 보수냐 물으니까 이건 답하지 않고, 본인의 정체성을 말했습니다. <br> <br>[허은아 / 개혁신당 수석대변인 (오늘, 채널A '라디오쇼 정치시그널')] <br>저는 개혁보수이고 중도보수입니다. <br> 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공동대표 (오늘, CBS 라디오 ‘김현정의 뉴스쇼’)] <br>이준석이라는 사람이 보수적 성향을 가진 정치인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았거든요. <br><br>[이낙연 / 개혁신당 공동대표 (오늘, SBS라디오 ‘김태현의 정치쇼’)] <br>네 생각은 뭐냐고 한다면 저는 실용적 진보입니다마는<br><br>Q. 다 제각각이네요. 그래서 개혁신당은 진보입니까 보수입니까?<br> <br>개혁신당의 정체성에 대해선 이런 답들을 내놨습니다. <br><br>[김종민 / 전 새로운미래 공동대표 (오늘, YTN 라디오 ‘뉴스킹 박지훈입니다’)] <br>진보도 있고 보수도 있는 거지 보수 진보를 얘기해봐야 무슨 의미가 있습니까? <br> <br>[류호정 / 전 정의당 의원 (오늘, JTBC 유튜브‘장르만 여의도’) <br>공존하는 게 시대정신이라고 저는 생각하고요. 그런 (진보·보수) 선명성이 결국 우리나라 발전에 도움이 되었냐, 그렇지 않거든요.<br><br>Q. 아무래도 답하기가 껄끄러울 것 같아요.<br> <br>그러다보니 위장결혼이라는 지적도 나왔습니다. <br><br>[한동훈/국민의힘 비대위원장 (오늘)] <br>지금 그 (개혁)신당은 정체성이란게 정말 있습니까? 영주권 얻기 위한 위장결혼 비슷한 것 아닙니까? 생각을 모을 생각이 없잖아요?<br> <br>지적 받은 이준석 대표, 이렇게 말했습니다. <br><br>[이준석 / 개혁신당 공동대표 (오늘)] <br>하루 정도는 고운 말 해주는 것이 통상적인 상례인데 다소 의아하긴 합니다. 저는 한동훈 위원장이 어떻게든 잘 되길 바랍니다.<br> <br>정치인으로서의 예의만 지적했을 뿐 정체성에 대한 답을 못한 거죠. <br><br>Q. 하나의 답 내놓을 수 있을까요. 주제 하나 더 보겠습니다. 김경율 국민의힘 비대위원 1교시 끝? 이게 무슨 말이에요?<br> <br>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논란에 대한 재밌는 비유가 나왔는데요. <br> <br>같이 들어보실까요? <br><br>[김경율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 (오늘)] <br>우리가 1교시가 국어 시험이고 2교시가 영어 시험 3교시가 수학 시험이면 1교시 국어 시험이 이제 끝났잖아요. <br><br>2교시 영어 시험 시간인데 1교시 국어 시험을 이야기할 수는 없으니까 저는 어떻게 보면 그게 안타까운 거죠. <br><br>Q. 무슨 말이에요? 1교시 끝나고 2교시로 가자?<br> <br>김 여사의 명품백 논란이 벌어졌던 1교시 시험 성적은 이미 나왔다고 했습니다. <br> <br>국민들이 명품백 논란에 대한 대통령 입장까지 들고, 평가를 했으니 2교시로 넘어가자, 이제 다른 이야기 하자는 거죠. <br><br>Q. 1교시 시험 점수 궁금한데요.<br> <br>후하게 줬을까요, 박하게 줬을까요? <br> <br>가채점 결과는 이겁니다. <br><br>[김경율 /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 (오늘)] <br>그건 진짜 국민들이 판단할 부분인 것 같아요. 더 잘 맞고 싶고 더 잘 보이고 싶은 입장에서는 아쉽습니다.<br> <br>1교시 국어시험이 아쉽다면 2교시 영어시험은 잘 치러야겠죠.<br> <br>국민들 점수도 궁금해집니다. (점수는요) <br><br>Q. 지금까지 여랑야랑이었습니다.<br><br>구성: 윤수민 기자·김민정 작가 <br>연출·편집: 신유나PD, 황연진AD <br>그래픽: 디자이너 성정우<br /><br /><br />윤수민 기자 soom@ichannela.com